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추모제사진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쟁점 - 민주시민교육 기초조사분석연구사업 보고서

민주시민교육의 개념과 쟁점 - 민주시민교육 기초조사분석연구사업 보고서



<차 례>

제1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전제와 가정 5

3. 연구의 방법 및 추진 절차 7



제2장 민주시민교육의 이론적 기초 13

1. 민주시민교육: 실천적 개념규정방식에 관하여 13

2. 받아오기: 민중교육의 전통 17

3. 들여다보기: 현 단계 민주시민교육론의 성장과 전개 36

4. 전개하기: 민주적 학습공동체와 변혁학습 50

5. 전환하기: 시민사회와 학습사회의 만남 69

6. 비교하기: 노동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연관성 찾기 76



제3장 시민사회의 공공영역과 민주시민교육의 새로운 장 85

1. 한국의 민중 민주화 운동과 시민운동으로의 연계 85

2. 시민사회 들여다보기: 자율적 공공영역과 생활정치의 등장 105

3. 시민의식화 과정으로서의 시민주도 정치교육 120



제4장 민주시민교육의 기호와 실천성 133

1. 분석의 맥락 133

2. 자기 정체성과 경계 만들기 134

3. 민주시민교육의 목적과 이념 분석 147

4. 시민교육의 대상 분석 158

5. 조직의 특성과 교육방식의 관련성 165



제5장 학습과 조직화의 실타래: 두 가지 사례 199

1. 광명 YMCA 생활협동조합 사례 199

2. 녹색여성모임 사례 225



제6장 내용 영역별 특성과 교육의 실제 273

1. 환경교육 273

2. 미디어교육 294

3. 주민자치교육과 시민교육 306

4. 여성과 민주시민교육 333



제7장 민주시민교육 방법론: 최근 동향을 중심으로 367

1. 돌아보며: 한국 민주시민교육방법론의 현주소 367

2. 민주시민교육의 경험적 학습방법 375

3. 모더레이터(Moderator)에 대해 381

4. 교육방법의 구성요소 388

5. 참가자지향의 교육방법 395

6. 민주시민교육 방법론의 실천지향성 400



제8장 노동교육과 민주시민교육 407

1. 민주시민교육으로서의 노동교육 407

2. 노동교육의 세 영역(1) : 조직-현장과 결합된 교육 413

3. 노동교육의 세 영역(2) : 내용-의식교육 446

4. 노동교육의 세 영역(3) : 방법-참여교육 471

5. 민주시민교육의 내포와 확장 : 노동교육 487



제9장 요약 및 결론 491



참고문헌 515



부록 523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