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본문으로 바로가기

보고서

[시민교육 연구보고서]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과정 연구

[시민교육 연구보고서]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과정 연구


[시민교육 연구보고서] 시민사회의 시민교육 체계 구축과정 연구

□ 시민교육의 필요성

  ○ 시민교육은 민주주의발전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므로 많은 국가들이 그 활성화를 위해 체계적 지원과 진흥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 국가별 시민교육의 체계

 1. 독일의 시민교육

  ○ 정치교육(Politische Bildung)을 정치교육원이 정당유관단체와 연결 실행. 정치적․정파적 갈등을 국가 제도 안에서 해결 시도.

 2. 프랑스의 시민교육

  ○ 시민성 함양 교육(éducation à la citoyenneté)을 초․중등학교에서 실시. 제도 밖에 비판적 대중교육(éducation populaire)이 자생함.

 3. 스웨덴의 시민교육

  ○ 민중교육(folkbildning)으로 학습단체(27만여개), 민중학교(151개)가 자율협의체 결성. 시민교육위원회 통해 체계적 지원전달.

 4. 미국의 시민교육

  ○ 시민교육(civic education)은 학교교육 중심으로 이뤄지나 제도화 정도 낮고 주(state)단위 내에서 시민단체들이 협의체를 이룸

 5. 영국의 시민교육

  ○ 시민성교육(citizenship education)은 2002년 교과과정으로 지정되었으나 실행과 운영은 학교․교사․단체에 자율에 맡겨져 있음.

 

□ 시사점

  ○ 시민교육은 사회 맥락 감안해 지원 체계 구성. 시민사회 보조(미국, 영국), 국가 주도(독일, 프랑스), 자율성 존중(스웨덴) 등.

  ○ 지역사회 단위의 다중파트너십을 만들어 운영해야할 필요가 있음.

 

목록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