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 이슈와 전망(Online)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는 매월 10일 민주화운동과 민주주의에 관한 이슈와 현안을 분석하는 민주주의 이슈와 전망 (ISSN 2508-3244, Issue & Review on Democracy)을 온라인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
저자 (발행기관) : 신진욱(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2
세대·젠더 갈등 프레임과 한국사회 불평등 현실신진욱 중앙대학교세대갈등과 청년세대 남녀갈등에 관한 담론이 혼란스럽게 범람하는 가운데, 선정적인 대중담론들이 정치적·이념적·상업적 목적에 오용되는 문제가 커지고 있다. 세대 간 차이와 갈···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허지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2
안정적 평화와 민주주의: 다른 평화들의 소통과 경합허지영 강원대학교 통일강원연구원적대관계와 민족관계라는 상호모순성이 존재하는 남북한 관계로 인해 개별정치체로서 남북한의 공존을 강조하는 주장은 때로 통일을 부정하는 것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이렇게 경우에 따라 긴장 관계를···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이영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2
민주화 35년, 민주화운동기념·계승 정책과 방향: 한국 민주화운동의 경험과 가치, 성과의 세대 간 전승과 세계적 공유이영제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6월 민주항쟁 35주년을 맞는 올해 민주화운동의 경험과 가치, 성과를 세대 간 전승하고 세계적으로···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김형철(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2
민주주의 지수의 유용성과 한계: 아시아 민주주의 지표 개발의 필요성김형철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연구소The Economist Intelligence Unit는 2022년 보고서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민주주의가 위기에 직면하고 있음을 주장한다. 이 보고서는 민주주의 지수를···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이원영(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2
세계의 구조적 전환과한국 사회 패러다임 전환의 기로에 서서이원영 한국민주주의연구소 소장우리는 현재 세계사적 위기 속에서 구조적 전환이 진행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세계적으로는 코로나19 팬데믹 위기와 그로 인한 산업 구조의 전환, 미중 패권 경쟁이 야기하는 국제정치적 ···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이미숙(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1
일본사회의 '미투(#MeToo)'와 민주주의:구조화된 폭력에 눈감은 언론의 '젠더평등' 담론이미숙 (릿쿄대학교 글로벌리버럴아츠프로그램운영센터 조교수)일본에서의 '미투(#MeToo)'운동은 2017년 기자회견과 저서를 통한 이토···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이슬기(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1
인도네시아령 파푸아의 개발 정의와 민주주의- 서파푸아인들의 개발·환경 정의를 향한 투쟁이슬기(외신 프리랜스 기자)한국 시민사회가 '인도네시아령 파푸아'를 알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인도네시아는 세계 1위 팜유 생산국이다. 한국 시장을 포함해 전세계에 유···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홍명교(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1
코로나 이후 중국의 사회변동과 사회운동 양상홍명교 (플랫폼C 활동가)2020년 1월부터 급작스럽게 전파되기 시작한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중국 사회와 세계를 혼란에 빠뜨렸다. 고 리원량 의사의 '내부고발'과 몇몇 시민기자들의 활동은 중국 인민들에게 '···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이영제(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1
한국 민주화운동의 특징과 형상화:민주인권기념관에 민주화운동 역사를 어떻게 담을 것인가?이영제 한국민주주의연구소 부소장한국에서 민주주의의 급속한 발전은 그것에 비례하는 속도로 민주화운동을 과거의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 한국에서 민주화운동에 대한 역사적 정립과 그 토대는 ···
자세히 보기
-
저자 (발행기관) : 이유경(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021
'연방 민주주의'를 향한 미얀마의 여정과 도전이유경 (국제분쟁전문기자)본 리포트는 지난 2월 1일 쿠데타가 발생한 미얀마의 '포스트-쿠데타' 상황을 이 나라의 오랜 숙원 과제인 '연방 민주주의'의 관점에서 관찰·분석한 것이다. 필자는 우선 미얀마의 범민주진···
자세히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