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하단의 내용을 더블클릭하거나 버튼을 눌러 퍼가세요.
국민 10명 중 8명 “민주화운동 자랑스럽다”
- 내란 사태 극복을 통해 민주적인 반전 이뤄냈다는 인식 영향
- 민주화운동인식도 종합지수는 73.6점(-0.1점), 전년과 유사한 수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는 우리 국민의 민주화운동 및 민주주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2025년 민주화운동인식도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올해 민주화운동 인식도 종합지수는 73.6점으로 전년(73.7점)과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상세 내역에서는 ▲민주화운동 평가(81.5점)가 가장 높았고,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 및 참여의식(74.5점),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 인식(64.8점) 순으로 나타났다.
민주주의 인식, 개선세 뚜렷
올해 조사 결과의 가장 큰 특징은 국민들의 민주주의 만족도와 민주주의 수준 평가의 개선세가 뚜렷한 점이다. ‘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만족도’는 56.6점으로, 전년 대비 3.7점이 올랐고, ‘한국 민주주의에 대한 평가’ 역시 57.6점으로 나타나, 전년 대비 3.9점이 상승했다.
정일준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계엄 사태를 극복하고 민주적인 반전을 이뤄냈다는 인식이 확산된 결과”라고 해석하였다.
다만 사회 갈등 인식에서는 ‘여당/야당 갈등’(84.5점)이 가장 높았다. 이어서 ‘진보/보수 갈둥’(84.4점), ‘영남/호남 지역 갈등’(73.8점), ‘노사 갈등’(69.5점), ‘계층 갈등’ (69.1점), ‘세대 갈등’ (68.1점) ‘성별 갈등’ (65.5점) 순이었다.
민주화운동에 대한 긍정 평가 확실
“우리나라 민주화운동에 대해 자랑스럽게 생각하는가”라는 자긍심 관련 조사 결과는 79.7점으로, 전년 대비 1.7점 상승한 점수다. 사회 발전 기여도는 79.3점, 인지 중요성은 82.8으로 민주화운동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 경향이 확실히 나타났다.
반면 “민주화운동에 대한 본인의 역사 인식 수준”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은 56.0점에 그쳤다. 이는 전년 대비 2.5점 하락한 점수로, 낮게 나타나 민주화운동에 대한 구체적 이해와 학습은 여전히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는 전국 17개 시도 만 18세 이상 국민 1,100명을 대상으로, 2025년 6월 13일부터 16일까지 온라인으로 실시됐다. 주요 문항은 △민주화운동 관련 역사 인식 △민주화운동 평가 △민주화운동 정신 계승 및 참여 의식 △민주주의 인식 및 현안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의 역할 등으로 구성됐다.
보다 상세한 조사 결과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누리집(kdemo.or.kr) 자료실의 <민주화운동인식도조사 보고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