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교육신청정보

모집마감

민주화운동기념관 7월 시민강좌 남영야학(夜學)

  • 공유하기
민주화운동기념관 7월 시민강좌 남영야학
교육일정
2025-07-03 19:00 ~ 2025-07-24 20:30
신청기간
2025-06-21 13:00 ~ 2025-06-29 20:00
장소
민주화운동기념관 E(교육동) 1층 다목적홀(서울 용산구 한강대로 71길 37)
대상
성인
모집인원
25 명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문의
0264408973 | edu@kdemo.or.kr


민주화운동기념관 7월 시민강좌 남영야학(夜學): 검은 벽돌의 비밀

우리 현대사에서 야학(夜學)은 교육을 넘어 연대의 공간이었습니다. 

기념관은 시민과 함께 소중한 우리 민주주의의 역사를 기억하고 더 나은 민주주의를 위해 연대하고자 <남영야학(夜學)>을 운영합니다. 

7월 남영야학에서는 '검은 벽돌의 비밀'을 테마로 남영동 대공분실 건축에 대해 알아봅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3회차: 2025. 7. 3.(목)|박정희 시대의 도시와 건축 그리고 남영동 대공분실|안창모 교수(경기대학교 건축학과)

건축은 우리에게 깊은 감동을 주기도 하지만, 때로 권력에 악용되기도 했습니다.  

옛 남영동 대공분실은 건축이 권력에 의해 악용되어 탄생한 대표적인 건축물입니다. 

7월 남영야학 첫 시간에는 건축역사학자 안창모 교수와 함께 박정희 시대의 도시와 건축, 그리고 남영동 대공분실에 대해 알아봅니다. 

나아가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남영동 대공분실의 의의도 생각해보는 시간으로 준비했습니다.  


○ 4차: 2025. 7. 10.(목)|지우려는 vs 지키려는 : 201812_검은_미궁_인덱스|서영걸 사진작가

2018년 12월,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로 관리운영 주체가 이관되었습니다. 

사업회는 기념관 건립 공사 이전의 대공분실을 기록하고자 2018년부터 2020년까지 기록 사진을 촬영했습니다.  

기력이 다한 유기체 같은 건물 곳곳에는 과거의 음영이 흔적으로 남아있었습니다.

그 흔적을 담았던 서영걸 사진작가와 함께 당시에 촬영했던 사진을 중심으로 '지우려 했던' 흔적에 대해 알아봅니다.

그리고 참여자들과 작가가 함께 대공분실을 촬영해보며 '지키고자 한' 또 다른 흔적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 5차: 2025. 7. 24.(목)|남영동 대공분실, 고통의 기억을 공감하는 '공간'|김명식 교수(신한대학교 실내디자인학과)

건축은 무엇이고 무엇이어야 할까요?
남영야학 다섯번째 시간에는 '악(惡)'이 어떤 방식으로 공간화되었는지 살펴봅니다.
아울러 누군가 겪었고, 여전히 경험하고 있는 고통을 기억하는 공간으로서 남영동 대공분실을 어떻게 이해하면 좋을지
『건축은 어떻게 아픔을 기억하는가』의 저자 김명식 교수와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 교육신청

○ 신청기간: 2025. 6. 21.(토) 13:00~2025. 6. 29.(일) 20:00 
  - 모집 상황에 따라 4, 5회차의 신청기간이 연장될 수 있습니다.
○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 (상단 참여 신청 클릭)
○ 신청확인: [누리집]  [교육행사]  [교육]  [신청내역확인]
○ 선정방법: 선착순 마감 ※접수 순서에 따라 최대 10명까지 대기자로 등록
○ 선정발표: 2025. 6. 30.(월) ※개별안내
○ 문의: 민주화운동기념관 교육운영팀(02-6440-8973, edu@kdemo.or.kr)

□ 유의사항

 교육 신청 시, 신청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 선착순 신청 마감되며, 취소자 발생 시 대기자에게 순서대로 연락드립니다. 

 교육 참여가 어려울 경우 대기자를 위해 교육 1일 전까지 불참 의사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당일 취소 및 무단 불참 시 추후 교육 참여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기념관 내 주차가 불가하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교육 운영 중 촬영된 사진은 교육 홍보 등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관 사정에 따라 교육 운영이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