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슬라이드 배너 이전
슬라이드 정지
슬라이드 배너 다음

오픈아카이브소개

기억의 역사에서 기록의 역사로,
어제와 오늘이 만나는 곳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이 만들어갑니다.

오픈아카이브는?

오픈아카이브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디지털 아카이브 브랜드입니다. 오픈아카이브는 특정 운영체제나 브라우저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형 아카이브를 지향하며 2011년에 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2015년에 진행한 두 번째 프로젝트는 기록정보를 조직하는 도구로서의 디지털 아카이브에 집중했습니다. 2021년 세 번째 프로젝트는 이용자 친화형 아카이브를 목표로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 검색기능과 디자인을 개선하였고 이용자는 효율적인 기록 탐색이 가능합니다.

  • 2013 서울 미래유산 선정
    2013 서울 미래유산 선정
  • 2013 디지털 유산 어워드 수장
    2013 디지털 유산 어워드 수장
  • 2018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
                    사회공공부문 우수상 수상
    2018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
    사회공공부문 우수상 수상
  • 2019 기록의날
                    국무총리상 수상
    2019 기록의날
    국무총리상 수상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제6조 2항 ‘민주화운동의 역사를 정리하기 위한 사료의 수집, 보존, 전산화, 관리, 전시, 홍보, 조사 및 연구'에 근거하여 한국 민주화운동 사료를 수집, 정리, 보존합니다.사료관은 민주화운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오픈아카이브를 통해 사료를 사회로 다시 돌려주어 민주화운동 이후의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시행 2013.05.22][법률 제11781호, 2013.05.22. 일부개정]

  • 등록 사료 계층 통계

    2023.10.25 기준

  • 통계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합니다.
  • 58
    그룹Group
  • 3,473
    시리즈Group
  • 8,171
    파일Group
  • 625,789
    아이템Group


아이템 단위의 등록 건 수
  • 556,548
    문서류
  • 3,473
    사진필름류
  • 8,171
    음성영상류
  • 625,789
    박물류



  • 등록 사료 계층 통계

    2023.10.25 기준

  • 276,548
  • 556,548
    문서류
  • 3,473
    사진필름류
  • 8,171
    음성영상류
  • 625,789
    박물류

레거시 서비스 Legacy Service

일부 콘텐츠와 서비스는 업데이트와 리패키징(re-packaging)을 계획 중입니다.
다음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6월의 연가 6월의 연가로 이동
디지털 전시
포토 아카이브 포토 아카이브로 이동
주제, 장소, 사건별 사진 아카이브

지난 프로젝트

  • 2008
    2008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2008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 2009
    2009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2009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 2011
    20011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2011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 2015
    2015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2015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 개발 참여자
    문성필, 한운장, 강지환, 권오현, 권형택, 김소준철, 김보인, 김연희, 김용현, 김태림, 김현호, 박주일, 배선화, 송동현, 심성보, 이보미, 이선화, 이소연, 이정환, 이진건, 이효은, 조규연, 최중화, 함희춘, 홍계신, 홍은혜, 원종관
  • 2021
    2021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2021 민주화운동 아카이브 시스템
  • 개발 참여자
    양금식, 이정환, 이수원, 문성필, 윤혜선, 정보람, 조병근, 조용욱, 김준, 백세빈, 박시연, 정진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