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제16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 예선 심사 결과 발표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 예선 심사 결과 발표

  • 2025-10-01 | 관리자
  • 공유하기

제16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 예선 심사결과 발표



<예선 심사 총평>

  

  먼저 제16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에 함께해주신 청소년 여러분과 지도교사, 청소년단체 지도자를 비롯하여 본 대회에 관심 가져주신 모든 분들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바쁜 일상과 여러 제약 속에서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발걸음을 내딛는 이 참여 자체가 우리 사회를 앞으로 나아가게 하는 힘임을 다시 확인하였습니다.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는 일상의 사회문제를 발견하고 그 문제를 공공정책 제안으로 해결하는 과정입니다. 올해 모둠들은 지역 현안, 청소년, 보건, 인권, 장애, 역사, 동물권, 디지털문제에 이르기까지 복잡해지는 사회만큼이나 다양한 의제를 다루어 주었습니다. 특히 지역 현안과 디지털 영역의 탐구가 눈에 띄게 늘어났는데, 이는 일상에서 체감한 변화와 온라인 공간의 문제들이 청소년들의 사회 참여를 통한 해결로 이어졌음을 보여줍니다. 무엇보다 사회문제를 정확히 바라보고, 이를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표명한 모둠들이 많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큽니다. 


 심사는 미국시민교육센터(Center for Civic Education)의 프로젝트 시티즌(Project Citizen) 모형에 따라 ‘문제점 이해 – 대안정책 분석 – 공공정책 개발 – 실행계획 이행’ 네 단계로 진행되었습니다. 심사위원단은 다음을 종합적으로 확인했습니다.

 • 주제의 문제와 원인을 객관적 근거로 설명했는가?

 • 해결을 위한 대안정책을 명료하게 제시하고 한계를 성찰했는가?

 • 공공정책을 논리·증거로 설득력 있게 구성했는가?

 • 실행을 위해 필요한 관계자와 실제로 소통·협력했는가?

 • 전체 활동 과정을 일관되게 정리해 전달했는가?


  여러 모둠이 높은 수준의 탐구와 성실한 실천을 보여주었습니다. 생활에서 포착한 문제를 구체화해 논리적 구조로 정리한 보고서, 이해관계자와의 면담을 통해 정책의 현실성을 파악한 사례,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직접 실행을 통해 변화를 모색한 활동들이 특히 돋보였습니다. 사회문제의 구조를 차분하게 해석하고, 가능한 대안을 스스로 설계하여 행동으로 옮긴 점은 청소년의 성숙한 시민의식과 참여를 보여주었습니다. 

  다만 자신들이 펼친 문제의식과 노력의 과정을 충분히 드러내지 못해 아쉬운 경우도 있었습니다. 주제 면에서 볼 때 미디어 등에서 많이 언급되는 주제보다는 자신의 삶 속에서 발견되는 문제를 다룬다면 진정성 있는 프로젝트가 될 것이고 실행의 측면에서도 깊이를 더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을 구체적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보여준다면 본 대회의 취지에 보다 더 잘 부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위와 같은 심사 기준을 바탕으로 본 대회의 심사위원들은 깊은 논의를 거쳐 본선대회에 진출할 10개 모둠을 선정하였습니다. 선정된 팀은 발표와 질의응답, 활동 전시를 통해 그간의 성과를 11월 1일(토)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공유하게 됩니다. 본선에 오르지 못한 청소년 여러분께도 따뜻한 박수와 응원을 보냅니다. 수상 여부를 넘어, 사회문제를 인식하고 개선을 위해 직접 참여한 경험은 우리 민주주의를 단단하게 만드는 밑거름입니다. 모둠별 제안과 자료를 다듬어 관계기관에 제안하고 지속적인 관심과 실천을 학교와 지역사회에서 계속 이어가 주시길 기대합니다.


  끝으로, 청소년들의 사회참여 활동을 곁에서 안내하고 지지해 주신 지도교사와 청소년 지도자, 공정한 심사를 위해 수고해 주신 심사위원, 운영을 성실히 맡아주신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참여해 주신 347명의 청소년과 66개 모둠 모두에게 존경과 격려를 전합니다. 여러분의 꾸준한 참여가 우리 공동체의 변화를 만들어 갑니다. 감사합니다.



- 제16회 청소년사회참여발표대회 예선 심사위원 일동 -


 모둠명

발표주제 

학교(단체) 

지역 

네임헌터스 

지명의 독립 

문산수억고등학교 

 경기도

 북두칠성

기후적응형 도시생태공원 재구성 프로젝트 

서인천고등학교 

인천광역시 

 앙가주망

신호는 짧고 인생은 길다

문산수억고등학교 

 경기도

에코팝 

아이돌 앨범 판매 방식으로 인한 플라스틱 배출문제 

 서울항동초등학교

 서울특별시

 용모단정

RE:Play - 프로야구장 다회용기 의무화와 표준 회수 시스템 구축 

용인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경기도

 우장산 구멍가게

정치 현수막, 지속 가능한 소통을 위한 정책 제안

덕원여자고등학교 

 서울특별시

 PICK정책실

우산중 등굣길 안전에 대한 대책 제안 

 우산중학교

광주광역시 

 S.O.S

청소년 자살 예방을 위한 「생명의 나무 프로젝트」 시행 

조치원중학교

세종특별자치시 

 SJCEF

 Tail of Hope(희망의 꼬리): 유기동물 문제 해결 프로젝트 

삼현여자중학교

경상남도 

 T.E.A.M.SM

안전안내문자의 개선을 위한 ER정책 

상명중학교 

 서울특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