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하단의 내용을 더블클릭하거나 버튼을 눌러 퍼가세요.
민주화운동기념관 10월 시민강좌 남영야학(夜學): 시민력, 공존의 기술
10월 남영야학에서는 시민 역량으로서의 '공존'에 대해 알아봅니다.
민주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에게 꼭 필요한 공존을 이해하고,
공존하는 삶을 위해 시민은 어떤 역량을 갖추어야 할지 함께 알아보고자 합니다.
○ 9회차: 2025. 10. 16.(목)|좋은 어른, 좋은 시민다움이 각자도생에 맞서는 무기가 될 수 있을까?|양소희 파운더(유난무브먼트)
민주사회에서 공존하기 위해 우리는 어떤 시민이 되어야 할까요?
10월 남영야학 첫 시간에는 공존의 기술로서 '좋은 어른되기'란 무엇인지 생각해봅니다.
각자도생이 시대정신이 되지 않도록 우리는 어떤 시민, 어떤 어른이 되어야 하는지
다정하고 유능한 어른을 꿈꾸는 공동체 '유난무브먼트'의 양소희 파운더와 함께 생각해봅니다.
○ 10회차: 2025. 10. 23.(목)|공공성과 이타적 시민|최태현 교수(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이타심이란 무엇일까요?
최태현 교수는 이타심을 "나의 행복과 다른 사람의 행복이 겹치는 영역을 알아채고 신경 쓰는 마음"이라고 정의합니다. (『이타주의자 선언』 중)
공공성과 시민참여를 연구해 온 연구자이자 『절망하는 이들을 위한 민주주의』, 『이타주의자 선언』의 저자인 최태현 교수와 함께
공존의 주체가 되는 '이타적 시민'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 11회차: 2025. 10. 30.(목)|공존을 위한 언어감수성|신지영 교수(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언어에도 새로고침이 필요하다!
'언어감수성'이라는 표현을 대중에 최초로 전파하기 시작한 신지영 교수와 함께 관계의 거리를 좁히는 언어감수성에 대해 알아봅니다.
우리의 언어 습관을 돌아보고 민주시민으로서의 공존을 위한 언어감수성을 익히는 시간을 가지고자 합니다.
□ 교육신청
□ 유의사항
○ 교육 신청 시, 신청 정보를 정확하게 입력하시기 바랍니다.
○ 추첨을 통해 교육 참여자가 확정되며, 취소자 발생 시 대기자에게 순서대로 연락드립니다.
○ 교육 참여가 어려울 경우 대기자를 위해 교육 1일 전까지 불참 의사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당일 취소 및 무단 불참 시 추후 교육 참여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기념관 내 주차가 불가하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교육 운영 중 촬영된 사진은 교육 홍보 등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기관 사정에 따라 교육 운영이 변경 또는 취소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