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
하단의 내용을 더블클릭하거나 버튼을 눌러 퍼가세요.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남영동 대공분실 낭독극장 - 어떤 목소리’공연 개최
- 5월 14일(수)~17일(토) 총 6회 공연…국가폭력의 현장이었던 옛 남영동 대공분실(현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공연 진행
-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을 바탕으로 국가폭력에 맞선 여성들의 목소리 조명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이사장 이재오, 이하 사업회)는 5월 14일(수)부터 5월 17일(토)까지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에서 ‘남영동 대공분실 낭독극장 – 어떤 목소리’ 공연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은 연극 집단 ‘양손프로젝트(배우 손상규, 양조아, 양종욱 / 연출 박지헤)’와 함께 꾸미는 무대로, 도서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홍세 미 외, 오월의봄)에 수록된 인터뷰 글을 바탕으로 6회에 걸쳐 낭독하는 낭독극장 형식으로 진행된다.
「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은 국가보안법의 폭력에 맞서 싸운 11명의 여성들의 구술을 담은 인터뷰집이다. 특히 이번 공연은 과거 국가폭력이 자행되었던 남영동 대공분실 자리에서, 그 폭력에 맞서 싸운 여성들의 목소리를 현재의 민주화운동기념관 공간에서 낭독한다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공연은 회차별로 한명씩 총 6명 여성들의 구술내용을 낭독과 인형공연으 로 엮어 진행된다.
매 회차「말의 세계에 감금된 것들」낭독 후에 <몸에 대한 말들>로 구성된 인형공연이 이어진다. <몸에 대한 말들>은 2022년 이지형 작가의 <기존의 인형들: 인형의 조건들>을 바탕으로 창작된 인형극이다. 공연자는 인형의 몸에서 수집한 말 들을 발화하며, 인형의 몸과 다양한 관계를 맺는다. 이 과정에서 발화되는 말들은 낭독극의 목소리들과 어우러져 여러 목소리가 한 공간에 공명하며 공간을 채워나간다.
이번 공연은 지난 4월 18일 신청을 받자마자 예매 시작 1분 만에 전 회차 마감이 되었을 만큼 시작 전부터 뜨거운 관심을 받은 바 있다. 공연은 5월 14일(수)과 15일(목)에는 오후 7시 30분, 5월 16일(금)과 17일(토) 공연 은 오후 3시와 오후 7시 30분, 총6회 진행된다. 관람 시간은 총 80분이다.
사업회 이재오 이사장은 “민주화운동기념관 개관을 앞두고 옛 남영동 대 공분실 자리에서 진행되는 공연인 만큼 이번 낭독극장을 통해 다시는 국 가폭력을 용납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을 새기는 시간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